웹앱(Web Application)
웹앱(Web Application)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웹 기반 서비스들의 핵심입니다. Gmail, Google Docs, Notion, 카카오톡 웹버전 등 모두 웹앱의 대표적인 예입니다. 이 글에서는 웹앱의 정의, 동작 방식, 웹사이트와의 차이, 아키텍처 구성, 개발 방식, 그리고 웹앱을 만들 때 주의할 점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.
웹 개발자라면 웹앱의 전체 흐름을 반드시 이해해야 하며, 백엔드와 프론트엔드의 협업 구조를 파악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.
1. 웹앱(Web Application)이란?
웹앱은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. 전통적인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과 달리, 웹앱은 설치 없이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 가능합니다.
요약하면, 웹앱은 "웹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"입니다.
주요 특징
- 브라우저 기반 실행
- 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
- 서버와의 지속적인 통신 (AJAX 등)
- 데이터 저장 및 처리 가능
웹앱의 장점
- 설치 불필요 : 브라우저만 있으면 접근 가능
- 플랫폼 독립적 : Windows, macOS, 모바일 모두 동작
- 빠른 배포 및 업데이트
- 쉬운 협업 및 유지보수
웹앱 개발 시 주의할 점
- 보안 : XSS, CSRF, 인증 관련 취약점
- SEO : 클라이언트 렌더링일 경우 SSR 도입 고려
- 성능 최적화 : 코드 분할, 이미지 최적화
- 반응형 UI : 다양한 해상도 대응
- 접근성(Accessibility) : 키보드 내비게이션, 스크린리더 지원
웹사이트와 웹앱의 차이점
항목 | 웹사이트 | 웹앱 |
목적 | 정보 제공 중심 | 상호작용 중심 (입력, 저장, 수정 등) |
사용자 인터랙션 | 제한적 | 매우 풍부 |
예시 | 뉴스 사이트, 블로그 등 | 메일, 메신저, 생산성 도구 등 |
기술 구성 | 정적 콘텐츠(HTML, CSS) 위주 | 동적 콘텐츠 + 클라이언트/서버 통신 |
2. 웹앱의 기본 구조
웹앱은 보통 클라이언트(Frontend)와 서버(Backend)로 구성되며, REST API 또는 GraphQL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.
a. 클라이언트(프론트엔드)
- 사용자 인터페이스(UI)를 담당
- React, Vue, Angular 등 프레임워크 사용
- 서버와 비동기 통신 (AJAX, fetch, axios 등)
b. 서버(백엔드)
- 비즈니스 로직 처리
- 데이터베이스 연결
- Node.js, Django, Spring 등 사용
c. 데이터베이스
- 사용자 정보, 게시글, 설정 등을 저장
- MySQL, PostgreSQL, MongoDB 등
[사용자 브라우저]
↓
[프론트엔드 앱 (React, Vue)]
↓ HTTP 요청
[백엔드 서버 (Node.js, Django)]
↓ DB 쿼리
[데이터베이스]
3. 웹앱의 종류
a. 전통적인 웹앱
- 서버에서 페이지를 렌더링하고 HTML을 클라이언트에 전달
- 예: PHP 기반 사이트, Ruby on Rails
b. SPA(Single Page Application)
- 자바스크립트 기반 클라이언트 렌더링
- 빠른 화면 전환
- 예: React, Vue
c. PWA(Progressive Web App)
- 오프라인 지원, 푸시 알림 등 네이티브 앱 기능 포함
- 설치 가능한 웹앱
4. 웹앱 개발의 핵심 기술
- HTML/CSS/JavaScript : UI 구성 기본
-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: React, Vue, Angular
- 백엔드 프레임워크 : Express, Spring Boot, Django
- REST API 또는 GraphQL
- 데이터베이스 : PostgreSQL, MongoDB
- 인증/인가 : JWT, OAuth, 세션
- 배포 : Vercel, Netlify, AWS, Docker 등
5. 마무리
웹앱은 현대 웹 기술의 핵심이며,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점에 두는 웹 기반 프로그램입니다.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협력으로 동작하며, 설치 없이 다양한 기기에서 실행 가능하다는 점에서 강력한 장점을 가집니다. SPA나 PWA처럼 진화된 웹앱 형태도 알아두면 실무 개발에 매우 유용합니다.
함께 보면 좋은 자료
블로그 글 :
[SPA] 하나의 HTML로 모든 페이지를 만든다?
SPA(Single Page Application) SPA(Single Page Application)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대 웹 개발에서 널리 사용되는 아키텍처입니다. 이 글에서는 SPA의 개념, 동작 방식, 전통적인 MPA(Multi Page Applicatio
dachaes-devlogs.tistory.com
[PWA] 웹앱을 앱처럼 만드는 기술
PWA(Progressive Web App) 현대 웹 개발에서는 앱처럼 동작하는 웹앱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 특히 모바일 사용자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, 설치 없이도 빠르고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 주
dachaes-devlogs.tistory.com
'기술 스택 > App Platfor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하이브리드 앱] 웹앱과 네이티브 앱의 장점을 결합한 앱 개발 방식 (0) | 2025.04.21 |
---|---|
[네이티브 앱] 모바일 앱 개발의 정석 (0) | 2025.04.21 |
[PWA] 웹을 앱처럼 만드는 기술 (0) | 2025.04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