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IP 주소(Internet Protocol Address)
인터넷에서 수많은 장치들은 서로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?
우리가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, 이 모든 통신은 IP 주소(Internet Protocol Address)를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. IP 주소는 사람들의 집 주소처럼, 전 세계 네트워크 상에서 각 장비를 구별해주는 고유한 식별자입니다. 정확한 IP 주소가 없다면 데이터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고, 인터넷 통신은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.
1. IP 주소란 무엇인가?
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각 장치를 구별하기 위해 부여하는 논리적 식별자입니다. 우편물에 적는 집 주소처럼, 데이터가 정확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
- 논리적 주소 : 실제 하드웨어(MAC 주소)와 달리, 네트워크 관리자가 부여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.
- 고유성 : 한 네트워크 안에서는 각 장치가 고유한 IP 주소를 가져야 합니다.
IP 주소의 역할
- 데이터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지정합니다.
- 네트워크 상 장치들을 구분하고 식별합니다.
- 라우터가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경로 설정합니다.
IP 주소는 왜 중요할까?
- 서버, 클라이언트 식별 필수 요소
- 보안(방화벽, 접속 제어 등) 관리에 필수
- 부하 분산(Load Balancing)에도 사용
- 지역 제한(Geo-blocking) 서비스 구현에 활용
요즘은 클라우드, CDN, VPN 등에서도 IP 주소 기반 통제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.
IP 주소 확인 방법
Windows
ipconfig
Linux / Mac
ifconfig
웹 브라우저
- "내 IP 확인" 검색
- https://whatismyipaddress.com/
2. IP 주소의 종류
a. IPv4
- 32비트(4바이트) 주소 체계
- 표기 방법: 4개의 10진수로 표현 (각각 0~255), 점(.)으로 구분
- 예시 : 192.168.0.1
- 총 약 42억 개 주소 가능
(IP 주소 고갈 문제로 인해 한계에 도달함)
b. IPv6
- 128비트 주소 체계 (IPv4의 약 79억 배 이상)
- 표기 방법: 8개의 16진수 블록으로 표현, 콜론(:)으로 구분
- 예시 : 2001:0db8:85a3:0000:0000:8a2e:0370:7334
- 사실상 무한에 가까운 주소 공간 제공
- IPsec, 자동 주소 구성 등 향상된 기능 지원
3. IP 주소의 분류
기준 | 분류 | 설명 |
사용 범위 | 공인 IP (Public IP) |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고유 IP 주소 |
사용 범위 | 사설 IP (Private IP) | 내부 네트워크(기업, 가정)에서 사용, 인터넷 직접 접근 불가 |
고정 여부 | 고정 IP (Static IP) | 항상 변하지 않는 IP |
고정 여부 | 동적 IP (Dynamic IP) | 네트워크 접속 시마다 변동하는 IP (주로 DHCP로 할당) |
사설 IP 주소 범위 (IPv4 기준)
범위 | 범위 |
A 클래스 | 10.0.0.0 ~ 10.255.255.255 |
B 클래스 | 172.16.0.0 ~ 172.31.255.255 |
C 클래스 |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 |
- 사설 IP는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을 통해 인터넷과 통신합니다.
4. IP 주소의 구조
IPv4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(Network)과 호스트 부분(Host)으로 나뉩니다.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를 이용해 이 둘을 구분합니다.
- 서브넷 마스크 예시 : 255.255.255.0
- 의미 : 앞의 24비트는 네트워크 식별, 나머지 8비트는 호스트 식별
예시
IP 주소 : 192.168.1.10
서브넷 마스크 : 255.255.255.0
- 네트워크 주소: 192.168.1.0
- 호스트 주소: 192.168.1.10 (네트워크 내에서 고유)
5. IP 주소는 어떻게 할당될까?
a. 고정 IP 할당 (Static IP)
- 서버, 고정된 장비에 주로 사용
- IP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
- 장점 : 변동 없음 → 서버 운영에 안정적
- 단점 : 관리가 번거로울 수 있음
b. 동적 IP 할당 (Dynamic IP)
- DHCP 서버가 IP 주소를 자동으로 임대 (할당)
- 장점 : 관리 용이, 유연성
- 단점 : 매번 IP가 바뀔 수 있음
6. 마무리
-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의 논리적 주소로, 장치를 식별하고 통신 경로를 결정합니다.
- IPv4는 32비트, IPv6는 128비트 구조를 가집니다.
- 공인/사설 IP, 고정/동적 IP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됩니다.
- 오늘날의 모든 인터넷 서비스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.
함께 보면 좋은 자료
블로그 글 :
[프로토콜] 컴퓨터 세상에서의 약속과 규칙
프로토콜(Protocol) 인터넷은 어떻게 서로 다른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을까요? 브라우저에서 주소를 입력하면 어떻게 웹사이트가 열릴까요? 그 모든 과정의 중심에는 바로 프로토콜(Pro
dachaes-devlogs.tistory.com
728x90
반응형
'컴퓨터 사이언스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AC 주소] 네트워크 장비의 물리적 지문 (0) | 2025.04.29 |
---|---|
[GARP] 질문 없는 ARP, 나를 먼저 알리는 네트워크 자기소개서 (0) | 2025.04.29 |
[ARP와 RARP] IP와 MAC 주소를 연결하는 숨은 조력자들 (0) | 2025.04.29 |
[소셜 로그인] 프론트엔드 관점에서의 로그인 구현 (0) | 2025.04.18 |
[HTTP 메소드] 웹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첫걸음 (0) | 2025.04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