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데이터베이스 4

[In-Transit 암호화] 전송 중인 데이터 보호하기

데이터베이스 암호화 : In-Transit 방식 기업 환경에서 데이터는 단순히 저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, 지속적으로 이동(전송)하며 사용됩니다. 특히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간, 혹은 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노출 위험이 존재합니다. 이때 필요한 보안 기술이 바로 In-Transit 암호화, 즉 전송 중 데이터 암호화입니다.이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통신 구간을 보호하기 위한 대표적인 In-Transit 암호화 방식인 TLS/SSL, VPN, SSH 터널링을 소개하고, 각 방식의 개념과 적용 예시, 장단점을 비교합니다. 성능과 보안의 균형을 어떻게 잡을지 고민하는 개발자와 인프라 엔지니어에게 실용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습니다. 1. 데이터베이스 암호화란?데이터베이스 암..

[At-Rest 암호화] 저장된 데이터 보호하기

데이터베이스 암호화 : At-Rest 방식기업이 보유한 데이터가 점점 더 민감하고 중요해지면서, 데이터베이스 수준에서의 암호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. 특히 개인정보보호법, GDPR, HIPAA 등 다양한 규제에 대응하려면 저장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조치가 요구됩니다. 데이터베이스 암호화는 단순히 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 이상의 고려가 필요합니다. 성능, 운영, 키 관리, 복구 시나리오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.이 글에서는 Transparent Data Encryption(TDE), API 기반 애플리케이션 암호화, 플러그인 기반 암호화, 하이브리드 암호화 방식 등 주요 기법을 비교하고,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...

[RDBMS와 NoSQL]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?

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DBMS)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(NoSQL) 오늘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두 가지 데이터베이스 모델, 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DBMS) 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(NoSQL) 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각각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, 특성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실제 프로젝트에서 어떤 선택이 더 적합할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. 1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DBMS)란?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테이블(표) 구조로 저장하고, 각 테이블은 행(Row)과 열(Column)로 구성됩니다. 이 테이블들은 관계(Relation) 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수십 년 동안 대규모 기업 시스템과 금융 시스템 등에서 안정성과 일관성을 보장..

[Primary Key] Primary Key가 없다면? 데이터 무결성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

Primary Key(PK)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만들 때 거의 필수적으로 지정하는 것이 Primary Key(PK)입니다. 하지만 간혹 "PK 없이도 테이블은 잘 돌아가는데?"라는 생각으로 PK를 생략한 채 테이블을 설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그렇다면 PK가 없는 테이블은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까요?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걸까요? 이 글에서는 PK가 없는 테이블이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과, 왜 항상 PK를 지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봅니다. 1. Primary Key(PK)란?Primary Key는 테이블에서 각 행(row)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컬럼(또는 컬럼 조합)입니다.유일성(UNIQUE) : 중복된 값이 없어야 합니다.NOT NULL : 반드시 값이 있어야 합.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