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
Encryption 2

[In-Transit 암호화] 전송 중인 데이터 보호하기

데이터베이스 암호화 : In-Transit 방식 기업 환경에서 데이터는 단순히 저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, 지속적으로 이동(전송)하며 사용됩니다. 특히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간, 혹은 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노출 위험이 존재합니다. 이때 필요한 보안 기술이 바로 In-Transit 암호화, 즉 전송 중 데이터 암호화입니다.이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통신 구간을 보호하기 위한 대표적인 In-Transit 암호화 방식인 TLS/SSL, VPN, SSH 터널링을 소개하고, 각 방식의 개념과 적용 예시, 장단점을 비교합니다. 성능과 보안의 균형을 어떻게 잡을지 고민하는 개발자와 인프라 엔지니어에게 실용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습니다. 1. 데이터베이스 암호화란?데이터베이스 암..

[At-Rest 암호화] 저장된 데이터 보호하기

데이터베이스 암호화 : At-Rest 방식기업이 보유한 데이터가 점점 더 민감하고 중요해지면서, 데이터베이스 수준에서의 암호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. 특히 개인정보보호법, GDPR, HIPAA 등 다양한 규제에 대응하려면 저장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조치가 요구됩니다. 데이터베이스 암호화는 단순히 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 이상의 고려가 필요합니다. 성능, 운영, 키 관리, 복구 시나리오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.이 글에서는 Transparent Data Encryption(TDE), API 기반 애플리케이션 암호화, 플러그인 기반 암호화, 하이브리드 암호화 방식 등 주요 기법을 비교하고,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...

728x90